노인일자리 사업과 관련해 송미숙 의원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 축소 사업에 대해 본 의원이 지난 7일 건의해 군산시의회에서‘윤석열 정부의 공공형 노인 일자리 축소 정책 폐기 촉구’결의문을 채택하고 정부에다 철회하라 한 바가 있다”며 “생계가 곤란한 어르신들이 노인 일자리 사업 축소에 불안해하고 있다”며 생활이 어려운 노인층을 위해 우리 시가 생계형 일자리를 더 선별해서 선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우민 의원은 “정부의 노인 일자리 축소 정책과 관련해 읍면동 노인 일자리까지 모두 줄어드는지에 대해 질의하고 일자리 참여자가 민원해소 역할도 한다며 축소하기보다는 우리 시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노인 일자리 축소는 소비를 위축시켜 군산 시장 경제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방법을 모색할 것”을 요청했다.
이어 “연령에 맞게 일자리를 배정하고 고연령자의 교통관리 참여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판단력이나 인지력이 높은 사람으로 배정할 것”을 요구했다.
김영란 의원은 “노인 일자리 사업에 있어 세부적인 지침이 꼭 필요하다며, 공익활동,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 알선형 등 4개로 나누어진 노인 일자리 사업의 각 분야를 연령에 따라 구분해 편성하는 기준을 만들 것”을 요청했다.
노인여가 복지시설(경로당) 신축사업 관련해 서은식 의원은 “지역구 민원으로 경로당 부분이 많이 있다. 신축에 있어 수요가 많이 있는 반면 예산은 한정됐으므로 명확한 기준을 수립할 것”을 당부했다.
김우민 의원은 “농촌 지역 경로당 신축에 있어 부지확보 등 이용자 수를 감안한 원칙이 세워야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농촌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세부적인 사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한다며 에어컨, 김치냉장고 등 집기 구입에 대한 사업을 확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구가 증가해 경로당 신축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도시 지역에서는 이용자가 거의 없는 농촌 지역의 경로당 신축이 역차별로 보여줄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경로당을 요구대로 계속 신축하는 것은 난제고, 이는 지자체들의 공통적 문제일 거라며 김제시의 노인공동생활가정(그룹홈) 운영 사례 등을 참고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계속적인 경로당 신축보다는 주거대안형 등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것을 건의했다.
최창호 의원은 “유지보수비, 운영비, 집기 구입비 등으로 경로당 예산이 매년 계속적으로 증가되는 반면 이용자 수에 대해 파악한 자료가 없어 이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아이와 어르신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가칭 종합이용센터를 구상해 볼 것”도 제안했다.
김영란 의원은 “노인복지관은 예산을 들여 리모델링을 해도 화장실 민원이 반복적으로 제기된다며 수리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으므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신축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