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의 특색 반영한 ‘전북형 그린 스마트 스쿨’ 위한 TF 구성 등 대비 철저 당부 [전북=세계타임즈 최준필 기자] 한국판 뉴딜정책 일환으로 추진되는 그린 스마트 스쿨 사업과 관련해 전북형 그린 스마트 스쿨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25일, 전북교육청 2021년도 예산안심사에서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 강용구 의원(남원 2)은 “미래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시도되는 그린 스마트 스쿨 사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통해 전북형 그린 스마트 스쿨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판 뉴딜정책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인 ‘그린 스마트 스쿨’ 사업은 전국 노후 학교를 디지털과 친환경 기반 첨단 학교로 전환하는 것으로 ‘미래형 교수학습이 가능한 첨단 디지털 기반 스마트 교실’, ‘저탄소 제로에너지를 지향하는 그린학교’, ‘학생 중심의 사용자 참여 설계를 통한 공간혁신’,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생활SOC 학교시설복합화’를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그린 스마트 사업을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2025년까지 국비 5.5조, 지방비 13조 등 총 18.5조를 투입해 전국 노후 학교 건물 2,835개 동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강용구 의원은 “미래교육을 준비하고 교육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대규모 시설사업인 만큼 우리 지역의 현황과 특색을 반영한 전북형 그린 스마트 스쿨이 만들어져야 한다”면서, “당장 내년부터 사업이 시작되는 만큼 TF팀 구성 등 전북교육청의 철저한 준비와 사전계획이 필요하다”며, 전북교육청의 세심한 관심과 노력을 촉구했다.
한편, 전북교육청은 2021년 예산안에 사전계획 용역비 6억 원과 교육환경개선비 등을 활용해 내년에는 약 30개 학교를 선정해 그린 스마트 사업을 시작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