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정수장 시설 유해물질(독극물) 전혀 제거하지 못하는데도 타 시도 실패한 사례 고집만 하고 있어....!!!

부산 / 장경환 / 2019-08-27 15:42:48
▶ 현재의 시스템과 정수장 신규 개선사업 방식, 전혀 독극물 제거 못해.. 심각한 우려!
▶ 부산시 시민단체와 시의회가 의무적으로 검증하는 수돗물 공동검사 조례 제정 필요!
▶ 향후 정책실명제 도입, (가칭)부산수돗물 위기 관리 TF운영, 물관리 일원화, 수출용 스마트 국가시범사업 사례 적극 도입 촉구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고대영 의원(영도구1)은 제280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에서 지난 279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밝힌 부산시 화명.덕산정수장 수돗물의 문제점이 심각한데도 불구하고,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고 의원의 문제지적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내 놓고 있지 못하면서 변명으로만 일관하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고 의원은 현재의 시스템과 명장정수장 신규 개선사업 방식으로는 전혀 독극물(유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데도 복지부동의 자세로 일관하는 것은 심히 시민건강권에 우려가 된다고 꼬집었다.

 

특히, 대구시에서 실패한 환경부 에코스마트 상수도 R&D공정 도입을 아직도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는 고집하고 있고, 시정질문에서 상수도사업본부장이 RO나 NF분리막을 보강해 과불화화합물 등 미량 유해물질이 완전 제거 가능하다고 했는데, 이 말은 모두 거짓으로 판명 났고, 지금은 완전 제거는 안된다고 수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설치된 막공정이 전국정수장, 하수처리장에 수 조원 규모의 불량시설물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도 들어 났는데, 이중 현재 수영과 남부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불량시설물도 전문가 및 시의회와 함께 공동조사를 추진하여 더 이상 시민혈세가 낭비되는 사례를 막아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고 의원은 현재의 ‘분말 활성탄 접촉조’는 내부 전문가들 조차도 과불화화합물 등 미량 유해물질 처리효율이 미흡하다고 언급하고 있고 수질연구소의 실험실 데이터도 초고도 처리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부산시 자체 수질강화 프로그램’을 공표하고, 그 기준에 미달이 예견되는 불량시설물 설치는 지금이라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심각한 것은 낙동강 취수원 수질이 작년 평균 COD-크롬법 기준 30ppm의 녹조 반죽으로 상수원으로써의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고 밝히면서, 현재 부산시는 건축주택국장의 개방형 공모가 필요한 게 아니라, 부산시민들의 안전하고 깨끗한 물문제 해결을 위한 수돗물 정책 전문가 초빙이 더 질실하다고 오거돈 시장에게 고 의원은 제안 했다.

 

고 의원은 부산 상수도사업본부는 낙동강에 ‘1,4-다이옥산’이 ‘불검출’ 되었다고 하지만 1,4-다이옥산을 낙동강에 방류하는 공장들이 부산/경남에도 수없이 많아, 해운대 장산 지하수에도 1,4-다이옥산이 검출되는데도 낙동강 유역 수돗물에 ‘불검출’ 된다는 걸 믿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반문했다.

 

고 의원은 현재 독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수돗물 생산과 시료채취 과정에 시민단체와 의회가 의무적으로 검증하는 수돗물 공동검사 조례 제정이 되어야 신뢰받는 안전한 수돗물을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고 의원은 다음과 같은 제안을 촉구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