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대구 한윤석 기자] 대구광역시는 다문화학생*의 학습능력 향상과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구·군 가족센터를 통해 언어발달, 기초학습, 진로설계지원 및 교육활동비 지원 등 연간 40여억 원의 예산을 들여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 대구시 다문화학생(6,203명) = 국제결혼가정 자녀(국내출생+중도입국) + 외국인가정 자녀
가족센터에서는 영유아기 언어발달, 취학 전후 기초학습 및 청소년기 상담, 진로설계지원, 이중언어 역량강화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대학생을 활용한 한국어·기초학습 및 진로·진학 상담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학교 적응이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한 바 있다.
교육급여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의 7세~18세 자녀에게 교재구입, 독서실 이용 등 교육활동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연간 초등학생 40만 원, 중학생 50만 원, 고등학생 60만 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종료됐으나 내년에 주소지 가족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또한, 대구시는 3세~12세 이하 다문화가족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방문학습지를 지원하고, 중도입국자녀의 학교적응과 건강한 또래 관계 형성을 위해 문화체험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박윤희 대구광역시 청년여성교육국장은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이주’라는 경험에서 비롯된 언어 능력, 문화적 차이, 정체성 등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다양한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가족센터 현황 (수행기관 : 9개 구·군)
센터명 | 소재지 | 연락처 | 비고 |
중구가족센터 | 중구 남산로 53-1(남산동) | 431-1230 | ※ 자녀대상 지원사업 - 기초학습지원 - 진로설계지원 - 교육활동비 지원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 이중언어 학습지원 - 언어발달지원 - 자녀생활지도 - 부모상담 및 가족코칭 ※다문화가족 공통사업 - 공동육아나눔터 - 교류·소통공간 운영 - 결혼이민자 정착 지원 - 가족친화문화프로그램 - 가족역량강화지원 - 다문화가족 방문서비스 |
동구가족센터 | 동구 안심로 300(동호동) | 961-2203 | |
서구가족센터 | 서대구로 330(비산동) | 355-8042 | |
남구가족센터 | 봉덕남로 99(봉덕동) | 475-2324 | |
북구가족센터 | 대천로 77(동천동) | 795-4300 | |
수성구가족센터 | 들안로16길 78(두산동) | 593-1511 | |
달서구가족센터 | 야외음악당로13길 60(성당동) | 637-4374 | |
달성군가족센터 | 현풍읍 테크노중앙대로 231 | 054-383-2511 | |
군위군가족센터 | 군위읍 중앙길31-10 | 327-2994 |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