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울산교육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계시는 노옥희 교육감님을 비롯한 교육청 공무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교육위원회 안대룡 의원입니다.
울산교육청은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울산교육'을 비전으로 내세우며 그에 부합하는 교육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 의원은 그러한 비전의 핵심은 학생 모두가 각자의 재능을 마음껏 꽃 피울 수 있도록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정성을 쏟고, 협력적 학습 환경과 교육복지로 모든 아이가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최근 언론보도 된 울산 학생의 장기 무단결석 급증에 대한 기사는 울산교육청의 비전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 주고 있어 아쉬움이 크다고 하겠습니다. 보도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울산지역 초·중·고 학생 중 7일 이상 학교를 가지 않은 ‘장기 무단결석’ 처리된 학생이 2020년 238명, 2021년 240명, 그리고 올해 1학기(6월30일 기준)에만 162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울산의 경우 장기 무단결석의 사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학교부적응’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연속 40%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 무단결석 사유 중 울산의 ‘학교부적응’ 비율이 전국평균 보다 17%가량 높은 것입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3년간 장기 무단결석한 228명 중 156명이 학교 부적응으로 68%를 차지해 초·중학교보다 학교부적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본 의원은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대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1. 먼저, 최근 3년간(2020~2022년) 연도별, 학교급별 장기 무단결석 학생의 사유별 현황(비율표시)에 대해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2. 학교부적응으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학업중단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학업중단 사유 중 학교부적응이 원인인 학생수(비율표시)는 얼마나 되는지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최근 3년간 학교부적응 예방 및 대책 관련 예산(구체적인 항목 및 투입금액)에 대해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4. 마지막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 예방 및 지원을 위해 현재 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책(사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기 바라며, 해당 정책으로 인해 긍정적인 변화 또는 결과가 있다면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의원은 학교부적응은 학업중단, 학교폭력, 자살 등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문제의 근원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행복 할 수 있도록 울산교육청이 전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학교부적응 예방 및 대응 정책을 시행하여 타 시도의 모범이 되는 교육청이 되길 바라며 질문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울산 세계타임즈=이호근 기자]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