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1일 하타케야마 치카라 도다중기철공주식회사 과장이 테스트를 하고 있다)
새안그룹이 전기트럭·전기자동차로 친환경 건설·산업 분야를 혁신한다.
새안그룹은 전기트럭을 만들어낸 새안R&D로 국내 건설-산업 분야의 탄소배출 감소에 앞장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은 최근 이상기후 및 지구온난화 등과 맞물려 전세계 주요 해결 과제로 급부상했다. UN에서 ESG경영 활성화를 위해 탄소배출 감소 관련 운영활동에 연 5,500조원이 쓰이는 현실이다.
하지만 저개발국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UN을 위시한 국제기구에서 제시한 탄소중립 기준을 지키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친환경 전기트럭을 선보인 새안의 행보가 업계에 새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터널공사와 같은 공사에 필요한 대형트럭을 내연기관 없이 전동화시킨 새안의 전기트럭은 탄소배출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5월 31일 전북 군산시 소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종합시험센터에서 새안이 개발한 30톤급 굴절식 전기 덤프트럭 성능테스트에서 일본 TD리스社 관계자는 새안 전기트럭에 대해 "터널 내 대형트럭 운전시 배출되는 배기가스 문제 해결에 고민이 많았다"며 "꾸준히 친환경 전기화 중장비를 개발해온 새안의 기술에 관심이 많았고,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새안이 개발한 30톤급 굴절식 전기 덤프트럭은 매연이 배출되지 않아 탄소중립 문제를 해결했다. (왼쪽부터) 미야자키 타츠야 일본TD리스 고문, 노로 코다이 도다중기철공주식회사 과장, 하타케야마 치카라 도다중기철공주식회사 과장, 그리하라 사토시 새한재팬 대표, 요시무라 미키오 일본 TD리스 본부장, 아마리 히로유키 아마리코주식회사 대표, 최병길 ESS테크노코리아 부장)
실제로 테스트 현장에서 정차 및 주행 시 소음 발생이 적었다. 기존 터널공사에서 사용돼온 디젤 덤프트럭 대비 정숙성이 상당히 돋보였다는 것이 현장 관계자들의 반응이다.
여기에 친환경 전기 덤프트럭으로서 배기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않아 터널 등에서의 작업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새안은 지난해 12월 일본 TD리스社와 30톤급 대형 전기 덤프트럭 생산·수출 계약을 맺으며, 전세계 전기트럭시장을 석권할 준비를 마쳤다.
이정용 새안그룹 회장은 “새안이 개발한 30톤급 굴절식 전기 덤프트럭은 매연과 소음이 전혀 없다. 연료비도 기존 덤프트럭 대비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새안그룹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양산을 시작하고, 우선 일본 TD리스사에 45대를 납품한다"며 "30톤급 굴절식 전기 덤프트럭을 일본 뿐 아니라 미국과 호주,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에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