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세계타임즈 = 이연희 기자] 군산시의회(의장 김영일)는 지난 10일 전북도청 자치행정국장과의 간담회를 통해 군산, 김제, 부안의 통합 방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1월 군산시의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전라북도에서 추진한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명회를 시의회에서 중단시킨 이후 도의 업무 협조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김영일 의장은 “새만금특별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자는 대전제에는 동의하지만 군산, 김제, 부안 세 지자체가 관할권 분쟁을 계속 지속하는 상황에서 새만금특별자방치단체 구성에 대한 논의를 별개로 추진하자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도 않고 군산 시민의 정서에도 역행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전라북도의 원론적인 새만금특별지방자치단체 구성만을 외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면서 “김제의‘선결정·후개발’이라는 얼토당토 않는 논리에 전라북도가 선제적으로 중재했다면 두 지자체가 갈등의 골이 이 지경까지 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장은 “따라서 전라북도가 새만금특별지방자치단체 구성을 위해서 ‘김제시의 중분위 관할권 결정 신청 철회’가 선행되고 각종 분쟁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중재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며 현 상황을 질타했다.
이어 “경상남도 창원시는 창원·마산·진해시가 2010년 통합됐는데 통합 전 인구수는 창원 50만 명, 마산 40만 명, 진해 17만 명으로 경남 내 중소도시였으나 통합과 함께 110만 명이 넘는 거대 도시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또 “3개 시군도 군산시 인구 약 27만, 김제시 약 9만, 부안군 약 6만으로 세 도시가 합쳐지면 40만 이상의 도시가 되고 더 나아가 가능하다면 인구 27만의 익산시까지 합쳐진다면 최소 70만 이상의 메가시티도 가능해질 것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라북도는 ‘전주~완주’통합의 축과, ‘군산~김제~부안’통합의 두 축을 중심으로 창원과 같은 성공적인 광역기초자치단체 구성을 위해 새만금광역청사 건립 지원과 개발 인센티브, 정부 인센티브 등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해서 3개 시군이 점진적인 개발과 협업이 이뤄질 수 있는 통합의 길을 열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새만금 3개 시군이 공동 발전과 공동 번영의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동북아 중심이 되는 새만금 메가시티 실현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고, 따라서 전라북도는 통합의 당위성과 미래 전라북도의 발전 청사진을 가지고 신념 있는 비전과 확실한 통합 방안을 소신 있게 제시해 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전라북도에서 주관한 새만금특별자치단체 추진 설명회는 군산·김제·부안을 특별지방자치단체로 설치하여 새만금 메가시티와 속도감 있는 새만금개발 등을 실현한다는 새만금 특별자치단체 구상을 김제시를 시작으로 부안군에 이어 군산시를 순회하며 진행하고자 했으나 군산시 설명회는 시의회의 보이콧으로 무산된 바 있다. 이유는 군산새만금 신항만 및 동서도로에 대해 김제시의 선 관할권 결정이라는 명분 없는 권리주장 때문이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