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표결을 하루 앞두고 중앙지검장, 대행체제 대비 확대부장회의 소집
수사 마비 현실화 우려 1년 가까이 직무정지시 혼란 예상 중요수사·민생사건 사실상 스톱
이창수 지검장이 직접 수사했던 '이재명 사건' 공소유지 타격 대장동·성남FC·위증교사 등
이장성 기자
news@thesegye.com | 2024-12-03 18:35:54
중앙지검 각 차장이 기존에 맡고 있던 업무 영역이 서로 다른 데다, 이들이 모두 사법연수원 32기로 동기인 상황을 고려하면 검사장 업무를 대행하는 박 차장이 다른 차장 산하 수사와 관련해 업무 지시를 내리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중앙지검에는 난도 높은 사건이 상당수 계류돼 있는데, 수사 방식 선택 등에 대한 지휘부 결단이 중요하다는 점에서도 직무대행 체제로는 정상적인 청 운영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이런 상황에선 중앙지검이 수사 중인 김정숙 여사의 인도 타지마할 외유성 출장 의혹,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티메프 미정산 사건은 물론 마약, 성범죄 등 민생범죄 수사도 사실상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중앙지검이 맡고 있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연루된 위례·대장동 개발비리 사건, 성남FC 불법 후원금 사건,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위증교사 사건 등의 공소 유지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특히 이 지검장과 조 차장은 성남지청 근무 당시 직접 성남FC 사건을 수사했고 중앙지검으로 자리를 옮긴 뒤 공소 유지까지 책임지고 있는 사실상 '주임 검사'인 만큼 재판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앞서 탄핵안이 통과됐던 안동완 검사, 이정섭 검사가 헌재의 기각 판결로 업무에 복귀하기까지 각각 8개월, 9개월이 걸린 사례를 고려하면, 검찰이 인사로 빈자리를 채우지 않는 이상 이런 업무 공백으로 인한 혼란은 1년 가까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검찰 관계자는 "이렇게 탄핵을 당한다면 앞으로 모든 검찰청에서 지휘 체계가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명백한 탄핵권 남용"이라고 말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