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국제메디컬영화제(가칭) 개최하자!

- 김대현 의원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구시에 제안
-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브랜드 향상 효과 기대돼

한성국 기자

news@thesegye.com | 2019-03-24 12:51:24

 

[대구=세계타임즈 한성국 기자] 대구광역시의회 김대현 의원(서구1)은 3월 26일(화) 열릴 제265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의료산업의 도약을 위해 ‘메디시티 대구’도시브랜드를 국내외에 확산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말하며, 이를 위해 가장 대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구시가 ‘대구국제메디컬영화제’(이하 ‘메디컬영화제’)를 개최할 것을 제안할 예정이다.  

 

 김대현 의원은 우리 대구시에는 4개 의과대학에서 배출되는 우수한 의료진, 5개의 대학병원을 포함한 3,500여 개의 의료기관에서 한강이남 최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며, 지역 의료산업은 비수도권, 내륙이라는 단점을 극복하고, 정부의 의료관광클러스터 사업에서 3년째 전국 1위를 할 정도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 대외적으로 검증되었다고 강조했다. 

 

 김대현 의원은 대구시가 지역 의료산업을 미래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도시브랜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는데 ‘메디시티는 대구’라는 인식을 국내외에 각인시키기 위해서는 국제영화제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대구시가 메디컬영화제를 개최하게 되면, 세계최초 의료영화제로 주제면에서 독특함과 차별성으로 전 세계의 관심을 쉽게 끌 수 있게 될 것이고, ‘의료 영화’라는 친숙한 매개체를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겪는 시민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으며, 영화소재로 자주 활용되는 트라우마, 뇌성마비, 바이러스, 안면기형 등에 대한 지역 우수의료진의 해설과 영화제작자 및 평론가들과의 대화 속에서 영화에 대한 깊은 몰입과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천시가 ‘부천판타스틱영화제’를 통해 도시브랜드를 높여 31개 기업을 유치하고, 창작자 100명, 2,495개의 일자리 창출하여 3,246억원의 경제효과를 이끌어 낸 것을 볼 때, 대구시가 ‘대구국제메디컬영화제’를 추진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브랜드 향상에도 효과가 기대된다는 주장이다. 

 

 대구시가 이미 2년간에 걸쳐 ‘시네마 테라피*’사업을 진행하며 시민들의 호평을 이끌어내며 메디컬영화제의 성공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고 밝히고, 이제 이를 국제영화제로 도약시켜 ‘메디시티 대구’의 도시브랜드를 세계에 각인시킬 계기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대구시의 정책적 관심을 촉구했다. 

 

* 독일 심리치료전문가인 비르키트 볼츠의 저서에 등장한 단어로 영화를 통해 정서를 치유하는 요법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