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핫뉴스] 서울시, 휠체어 이용 장애인 ‘불편 없는 나들이’ 돕는다… 보조케이스(백팩) 지원

서울 / 이장성 / 2021-08-31 08:31:21
- 서울시 장애인의 이동권 증진과 편리한 수납을 위한 휠체어 보조케이스 지원
- 권역별 보조기기센터(동남권·동북권·서남권·서북권)에서 9월 한 달 간 접수
- 코로나19 확산방지 및 장애인 편의지원 위해 10월 중 택배 서비스 제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JTXSIaxjSV0-maxresdefault.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유튜브어쩌다 장애인 함박 TV크리에이터 체널 보조케이스 지원영상

# 안녕하세요 저는 백OO 아빠입니다. 이번에 휠체어 가방을 받아서 너무 기뻐하는 아이 엄마를 보고 감사하다는 인사를 하려고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이와 산책을 하거나 소풍을 갈 때면 일반가방을 휠체어에 매달고 다니다 보니 가방의 끈이 늘어지거나 또는 뒤로 젖힐 때 휠체어가 옆으로 넘어지는 일도 종종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가방을 이용하다 보니 마치 제 짝이었던 것처럼 많은 내용물을 담아도 불편함 없이 아이와 엄마가 좋아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이렇게 장애인을 생각하며 만든 제품이 많은 다른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기쁨을 줄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휠체어 보조케이스를 지원받은 백OO님 아버지의 편지

 

[서울=세계타임즈 이장성 기자] 서울시는 휠체어에 맞는 가방이 없어 외출 시 불편함을 겪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편익증진을 위해 올해 2차례 지원에 이어, 3차 보조케이스(백팩)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휠체어보조케이스(백팩)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지체·뇌병변장애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모든 지퍼의 손잡이가 고리형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외출 시 필요한 호흡기, 소변기 등을 모두 넣을 수 있도록 대용량 크기도 지원한다.  

 

 접수는 4개 권역(동남‧동북‧서남‧서북)별 보조기기센터에서 이뤄지며 9.1.(수) ~9.30.(목) 한 달 간 이메일, 우편, 팩스, 직접방문 등으로 할 수 있다. 

 

센터명

문의 / FAX

주 소

이메일

동남센터

02-440-5891~5

02-440-5897

서울시 강동구 고덕로 201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보조기기센터

seoulats@naver.com

동북센터

070-4258-7444

070-4032-4776

서울시 노원구 덕릉로 70가길 96

서울시립뇌성마비복지관 지하1

satsc@daum.net

서남센터

02-2662-3495

02-2662-3496

서울시 강서구 방화대로4569

강서뇌성마비복지관 5

atsgs@daum.net

서북센터

02-6070-9265~9

02-6070-9263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494

푸르메넥슨어린이재활병원 지하 2

ngyng73@purmehospital.org

 

3차 신청분은 10월 중에 배부되며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해 택배서비스, 직접수령으로 이뤄진다.  

 

 서울시 거주‧등록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재학 여부 및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① 저소득 초·중·고등학생, ② 저소득(수급자, 차상위) ③ 초·중·고등학생 ④ 일반 장애인 순으로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지원한다.

 

 단, 지난해나 올해에 이미 지원을 받았거나 타 지자체에 거주하는 자의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원 내용은 휠체어 보조케이스를 1인 1품목 지원하며, 보조케이스의 색상(네이비/그레이) 및 크기(25L, 40L)는 선택 가능하다.  

 

 지난해 전국 지역자치단체 최초로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휠체어보조케이스 지원사업을 시작한 서울시는 현재까지 약 1,500여 명에게 휠체어보조케이스를 지원했다. 지원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사업효과성과 제품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이동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93.1%로 나타났으며 다른 당사자들에게도 지원되길 바라는 사업 필요성 면에서는 97.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외출 시 챙겨야 할 것이 상대적으로 많은 휠체어 이용자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는 뜻이다.

 

 더불어 이용자들은 휠체어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수납공간이 많아 이용 편의성이 높다(88%)고 이야기했으며 디자인‧크기‧색상 면에서도 호평(88%)했다.  

 

 보다 자세한 문의는 서울특별시보조기기센터 사이트(www.seoulats.or.kr) 또는 서울시 권역별 보조기기센터 전화 상담을 통해 가능하다. 

 

 홍남기 서울시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들이 휠체어보조케이스를 지원받아 일상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영위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현장에 귀 기울이는 복지서비스로 장애인들의 편의증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 휠체어 보조케이스 지원사업 포스터, 공고문

 

첨부 : 휠체어 보조케이스 포스터

 

 

첨부 : 휠체어 보조케이스 공고문 ①

첨부 : 휠체어 보조케이스 공고문 ②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